“폐(閉) 원자로 속 비밀 밝힐 블랙박스 열었다”
“폐(閉) 원자로 속 비밀 밝힐 블랙박스 열었다”
  • 정세라 기자
  • 승인 2019.07.31 21: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자력硏, 우라늄·지르코늄 산화물 이용 폐로 속 용융물 구조 규명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에너지 리서치’ 표지 게재
라만분광기를 이용해 산화물 샘플의 구조를 확인 중인 이정묵 박사. [사진제공 = 한국원자력연구원 홍보실]
라만분광기를 이용해 산화물 샘플의 구조를 확인 중인 이정묵 박사. [사진제공 = 한국원자력연구원 홍보실]

국내 연구진이 낯선 폐로(閉爐)속 세계의 비밀을 풀어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방사화학연구실 임상호·이정묵 박사팀이 원자력 연구 분야 최상위 논문인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에너지 리서치(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를 통해 우라늄과 지르코늄의 합성 산화물을 이용한 폐(閉)원자로 속 금속 용융물의 특정 구조 규명에 성공했다고 지난 30일 알렸다.

연세대학교 멀티스케일 전산연구실 한병찬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국내 방사화학분야의 권위를 자랑하는 연구 기관과 대학교 간의 협력으로도 관심을 받은바 있다.

현재 폐로 상태인 후쿠시마 사고 원전의 후속 조치와 맞물려 가동 후 원전의 안전한 해체가 원자력 산업 시장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임 박사팀의 연구 성과는 폐(閉)원자로의 유해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진제공 = 한국원자력연구원 홍보실]
[사진제공 = 한국원자력연구원 홍보실]

원전 가동으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원자로를 구성하는 핵연료와 피복관, 금속 구조재 간에는 용융현상이 발생한다. 이 같은 용융현상에 따라 수명이 다한 원자로 내벽에 다수의 금속 용융물이 남게 돼 원자로 해체에 앞서 이들 금속 용융물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곧 안전한 해체 공정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논문에 게재된 연구 성과의 핵심은 용융물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론에 따른 구조 규명’이다. 임 박사팀은 원자로 내 금속 용융물과 동일한 물성을 지닌 우라늄·지르코늄 산화물을 대상으로 라만분광법(빛이 사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의 일부가 정상적인 진행 방향에서 이탈해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른바 ‘라만 산란 현상’의 원리를 이용, 분광기의 레이저를 물질을 이루는 분자에 조사해 산란된 빛의 진동 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분자의 세부적인 구조를 연구하는 기법)을 적용, 산화물의 특정 구조를 처음으로 확인했다.

이 같은 발견은 특정 구조가 지르코늄 원자 1개 당 8개의 산소 원자가 콤플렉스 형태로 결합된 것임을 규명한 연세대학교 측의 후속 연구 성과로까지 이어졌으며, 용융물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론의 성과는 중대사고 발생 원전의 원자로 속 환경에 대한 귀중한 정보제공의 단초가 될 전망이다.

임상호 박사는 “중대사고 원자로에 생성되는 용융물에 대한 기초 정보가 부족했던 가운데 이번 연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후속 조치를 논의 중인 후쿠시마 원전을 비롯한 중대사고 원자로 용융물 케이스에 대한 정보 획득의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본 연구 결과는 원자력분야 최고 학술지인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에너지 리서치’의 6월 25일자 43권 8호(Volume 28, Issue 8)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교신저자 : 임상호 박사(원자력硏), 한병찬 교수(연세대) / 공동 제 1저자 : 이정묵 박사(원자력硏), 권초아 박사과정 학생(연세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