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해체 산업 육성 위해 전문가들이 모였다”
“원전 해체 산업 육성 위해 전문가들이 모였다”
  • 정세라 기자
  • 승인 2019.12.12 2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산회의, ‘2019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 개최
12일 열린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에서 패널토론 중 패널들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정세라 기자
12일 열린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에서 패널토론 중 패널들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정세라 기자

“원전 해체 작업 시 발생하는 병목현상은 정치적 결정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탈원전’을 빠른 시기에 진행했기 때문에 원전 사업자가 디스멘트 해체를 하지 못해 일어나는 것이다.”

한국원자력산업회의(회장 정재훈)가 12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에서 ‘2019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한 가운데 ‘우리나라 원전해체 산업 육성을 위한 당면 과제’라는 주제로 열린 패널토의에서 병목현상에 대처하기 위해 준비된 사항이 있느냐는 질문에 Helge Kobbe TUV SUD Korea 본부장은 이같이 답했다.

Kobbe 본부장은 “독일의 원전 해체 경험을 말하자면 사용후핵연료를 소외로 옮기는 과정에서 독일정부가 발전소 부지를 그린필드로 서둘러 바꾸려고 했다”고 밝히며 “보통은 육상경로로 이동하는데 당시 배로 이송돼 그린필드로의 교체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다. 이 같은 혁신적 운송수단도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더 많은 방법들이 개발돼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전해체 산업 육성을 위한 실행계획’이라는 주제로 국내 원전해체에 대비하고 글로벌 해체시장 진출을 위해 주요국들의 원전해체 경험과 현안을 공유하고자 마련된 이번 포럼에는 미국 Westing House를 포함한 영국, 일본, 독일, 프랑스의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해 원전 해체에 대한 참석자들의 질문에 진지하게 답했다.

◆ 주요국들의 원전 해체 경험 전수 받아
원전 해체 시에도 가장 우려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방사능 유출일 것이다. 이에 따라 원전 해체 시 발생하는 개인 피폭선량에 대한 질문에 대해 Niklas Bergh Westing House D&D사업개발 책임자가 목소리를 높였다.

Bergh는 “피폭선량은 원자로홀 안에서 일어나며 선량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원인으로 집단 선량이라고 한다. 우리는 수중 절단을 통해 해체를 진행했다”고 전하는 Bergh는 “바스백 케이스를 예로 들자면 집단선량의 예산이 배럴 당 100밀리만시버트였는데 25밀리만시버트 밖에 나오지 않았다. 거기다가 원자로홀 전체가 깨끗했으며, 백그라운드 선량도 낮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프랑스의 경우 알파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었기에 추가적인 방어가 필요했다. 글러브, 마스크 등을 착용하며 작업자들이 몇 주에 한 번씩 콜을 불러 알파에 대한 선량을 측정했다. 절단에 있어서 주 피폭은 대개 백그라운드에서 받는다. 실제로 여기에서 오염 문제는 크게 없었다”고 밝혔다.

또한 인터널 커팅을 위한 베셀을 핵연료 저장고까지 옮기는 과정에 대해서도 Niklas Bergh가 답했다. 그는 “100톤 무게의 소형PWR를 사용했다. 임시 오버헤드크레인을 설치해 하나의 리프트로 만들어서 물속에서 인양했다. 차폐를 방지를 위한 방책이었다. 저장고는 풀에서 분리돼있기 때문에 두꺼운 콘크리트 벽에 구멍을 뚫고 이를 똑같은 사이즈로 만들어서 오버헤드크레인을 물속에서 인양한 다음 홀을 통해 옮겼다. 그 후 그 크레인을 사용해 저장조로 옮겼다”고 설명했다.

또한 원전분야 전문기관인 Westing House의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기 위한 질문도 주를 이뤘다. 해체 절단장비 교육프로그램이 따로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Bergh는 “우리는 직원들을 위한 내부트레이닝을 집중적으로 하고 있다. 웨스팅하우스 직원이나 협력업체 직원을 위한 것이다. 이미 외부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 적이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한국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하며 “오픈코스는 아니지만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자격증이나 학위 수여도 가능하다. 취지 자체는 직원을 위한 제도이지만 외부에서 필요로 한다면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인증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시사했다.

◆ 국내 원전 해체에 대한 끊임없는 의구심에 답하다
아직 해체 시도가 진행되지 않은 시점에서 타국의 경험이 국내에서도 안전하게 적용될는지에 대한 궁금증도 끊이지 않았다.

해체 시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현재의 국내 자체 기준으로는 처분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한 별도의 처분 기준을 재정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대해 정해용 원자력안전기술원 해체규제실장은 “해체 시 발생 폐기물 규제는 체계 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해체가 본격화되면 대량의 폐기물이 단기간에 발생하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며 “이에 한수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것이 재이용과 재사용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함께 그 부분에 대해서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 실장은 “무제한의 재이용이나 단순 매립, 철제 드럼 등 산업적 재이용으로 규제해제가 되면 별도의 규제 가능성이 없다. 어떤 폐기물이든 무제한적 규제 해체는 불가능하며, 발전소 내에서의 재사용 등도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다. 주 업체인 한수원의 계획을 듣고 서로 소통을 통해 필요하다면 규제 체계 내에서 가능하도록 재정할 수는 있을 것이나 최근 폐기물의 사회적 이슈가 많았기에 조심스럽다. 자체 처분제도를 사업자 측면에서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검토하는 부분이 사회적 수용성 부분에서 저항에 부딪힐 수도 있지 않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또한 원전 해체를 기업으로 한정하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광호 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자력 PD는 “산업부 등에서 원전산업 생태계 유지 차원으로 가능한 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 목적으로 기획하고 있으며, 대부분 주관기관을 중소·중견기업이 주관하도록 돼 있다”며 “전문기관의 손길이 무엇보다 필요한 과제이기도 하기 때문에 연구소나 학계의 참여도 필수적일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 PD는 “원전 건설 산업이 전무한 상태에서 중소·중견기업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학·연계에서는 참여기관 정도로 가능하다”고 이같이 밝혔다.

한편,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은 원자력진흥위원회의 ‘원전해체산업 육성 정책방향’에 따라 지난 2016년을 시작으로 올해 4회째로 개최됐으며, 정재훈 원산회의 회장을 비롯해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원전 공공기관 및 국내·외 원전 해체기업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포럼의 핵심이었던 주제발표 시간에는 해외 원전해체 동향 및 기술에 대해 ▲Niklas Bergh Westing House D&D사업개발 책임자가 Westing House의 절단 기술과 프로젝트 경험 ▲이정환 AMRC Korea 원장이 영국 원전해체 사업 지원을 위한 NAMRC 역할 ▲Stephane Bargues ORANO Asia 후행주기사업 책임이사가 Orano의 성공적인 원전해체 사업 지원 경험 ▲요시츠구 모리시타 JAEA 후겐해체설계센터 소장이 일본 후겐원전 해체 경험과 지역기업과의 협업 ▲Helge Kobbe TUV SUD Korea 본부장이 독일 원전해체 프로젝트 수행 경험과 공급망 관리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 원전해체 준비 현황으로는 ▲추성집 한국수력원자력 해체사업팀장이 고리 1호기 해체 준비현황 ▲민경업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정보협력실 부장이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실행계획 ▲정해용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해체규제실장이 원전해체 안전규제 체계 및 규제지침에 대해 발표했고, 국내 해체 기술 동향에 관해서는 ▲이광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자력 PD가 원전해체 R&D 예비타당성 사업 추진현황 ▲박광수 두산중공업 원전해체기술개발 사업팀 차장이 1차측 대형 금속구조물 원격해체 및 폐기물 처리기술 확보 현황 ▲김남균 한전KPS 원자력정비기술센터 실장이 원자로 내부 구조물 절단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